고태민 의원은 "들불축제에 따른 오름불놓기 등 부적정에 대한 조사 결과 당초 오름불놓기는 목초지에서 해왔고, 현재 지목이 '목장용지'인 필지가 주요 불놓기 장소이며, 인접한 지목이 '임야'인 토지로 인해 불놓기 허가를 받고 추진한 것은 관련 법 위반 소지를 해소하기 위한 조치이며, 불놓기 허가는 병충해 방제뿐만 아니라 학술연구조사 등 복합적‧함의적 행정 행위로 보아야 한다"고 했다.
고 의원은 또 "도 감사위원회가 제주들불축제 추진과 관련해서 숙의형 정책개발의 방법을 '원탁회의'로 추진하도록 한 도지사의 지시 사항과 다르게 '공론조사' 방법으로 추진한 것에 대해 부적정하다"면서도 "운영과정에서 제주시의 결정 사항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결론지은 것은 가재는 게 편이다라고 밖에 볼 수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이어 "도 감사위원회의 주장대로 공론조사 방법 추진이 잘못되었다고 한다면, 제주시가 대안으로 제시한 들불축제 정책방향 결정은 원천적으로 무효가 되어야 하고, 도지사 지시사항을 불이행해 2024년 들불축제 미개최 및 들불놓기 폐지 결정은 행정시장의 권한 남용으로 당시 제주시장은 정책개발 소요 경비 113백만원 낭비 등 이에 따른 법적인 책임과 더불어 도민에게도 사과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행정시장의 권한남용과 직무상 명령 불복종 등의 사항에 대한 조사요구에 대해서 도 감사위원회는 제주시가 도지사에게 사전 서면보고 사실관계를 확인했다고 하나, 공식적으로 원탁회의 결과에 따른 결정 사항에 대해 문서로 송달된 것이 아니며, 그 내용 또한 '들불축제 원탁회의 권고안에 따른 언론 브리핑 계획'이여서 제대로운 조사가 이루어졌는지 의구심이 들며, '숙의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주민참여 기본조례'에 따라 숙의형 정책개발 과정 절차 및 도지사의 책무 규정 등의 취지를 행정시장이 무시한 것은 항명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따른 #들불축제 #결정 #오름불놓기 #원탁회 #추진 #제주시 #사항 #방법 #의원 #감사위원회 #정책방향 #부적정 #정책개발 #도지사 #제주들불축제 #조사 #조사요구 #지시 #공론조사 #행정시장 #권고안 #불놓기 #숙의형 #산림보호법'위반이라
피프티 피프티 측, '큐피드' 저작권 1심 패소 불복… "항소 준비 중" 공식 입장
43분전 메디먼트뉴스
'7월 웨딩' 김준호♥김지민, 드디어 공개된 '선남선녀' 청첩장
58분전 메디먼트뉴스
'옥탑방의 문제아들' 침착맨, 유튜브 '효자' 주우재 출연료 언급 "잘 팔려서 계속 불러… 근데 거부하더라"
52분전 메디먼트뉴스
S.E.S. 슈, 쌍둥이 딸과 '눈물겨운' 동대문 나들이… "힘들었던 과거, 이젠 추억"
35분전 메디먼트뉴스
'핸썸가이즈' 최다니엘, 오상욱 빈자리 채운 '의리 게스트'… "힘들 때 집 내준 형" 이이경 과거 '은혜' 공개
29분전 메디먼트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