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러한 저자의 고유의 사유나 단상으로 보이는 그것들은 이른바 '개성', '오리지널리티' 같은 근대적 글쓰기의 언어로 설명될 수 없다.
저자가 말한 보고문학은 단순한 현장 보고가 아니라, 노동 투쟁 현장에서의 경험을 글쓰기로 전환하는 실천적 시도였다.
이 확장은 주권을 국가주권으로부터 해방시켜, 다중의 제헌활력과 구성력에 기초해 민주주의를 다시 사유하려는 기획과 결합한다.
그리고 이것은 존재론적 전환을 매개로 사유하지 않을 때 여전히 민주주의는 인간만의 것, 그리고 인간과 인간 아닌 존재를 구분하며 착취와 수탈을 정당화한 자본주의와의 제휴 역할을 넘어서기도 어렵다.
주권이 더 이상 인간 국가의 틀 속에서만 규정될 수 없다는 점은, 저자의 관점처럼 이번 광장 이후 더욱 사유하고 고민해야 할 또 다른 출발점이자 과제임이 분명하다.
#글쓰기 #말하기 #저자 #광장 #구체적 #사유 #오늘날 #미래 #과거 #이후 #강력 #언어 #인간 #형식 #아닌 #근대적 #사건 #전환 #실제 #보이 #매개 #민주주의 #개인적 #다중 #관점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