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테크노파크(원장 지영흔, 제주TP)는 지난 24일 호텔 리젠트마린에서 해양생물을 활용한 신소재 개발과 제주 해양바이오 산업의 미래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해양바이오 기술개발 성과 확산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제주대학교, 마린바이오프로세스, 해양바이오 연관 기업, 제주TP 등 산학연 전문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신소재 개발과 상용화,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 방안들이 논의됐다.
이배진 대표는 "그동안 기능성 원료 개발과 식약처 승인 사례를 보면 신소재 개발은 최소 5~10년의 장기적 안목이 필요하다"며, "제주 해양자원의 특성을 살린 차별화된 신소재 개발과 글로벌 시장과 연계한 전략의 마련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김봉석 제주TP 용암해수센터 센터장은 "제주의 해양생물자원에서 추출한 기능성 소재들이 매우 우수하고 제품 개발도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면서 "제주특별자치도 관련 부서와 협력, 제주가 해양바이오산업의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자원 개발과 산업화를 촉진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개발 #신소재 #소재 #기능성 #원료 #제주 #상용화 #산업화 #해양바이오 #자원 #추출 #해양생물자원 #활용 #해양생물 #글로벌 #강화 #기술개발 #진출 #전략 #산업 #협력 #대표 #gmp(우수제조관리기준 #제품 #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