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에서 본격적인 통계 조사가 시작된 것은 1925년 인구총조사(센서스)부터다. 올해로 한국 센서스 100년을 맞았다. 센서스는 특정 시점에 한 국가 또는 지역의 모든 사람과 가구, 거처와 관련된 인구·경제학적, 사회학적 자료를 수집·분석·제공하는 전 과정을 말한다. 인구와 가구, 주택에 관한 이 기본 통계는 한 시대의 사회와 경제를 파악하는 가장 중요한 기록 자료로, 국가 자원 활용과 배분, 경제 발전 목표 수립, 정책 방향 설정 등 폭넓게 활용됐다.
그렇다면 지난 100년간 인구조사는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켜 왔을까? 그리고 앞으로의 100년은 어떤 모습을 그릴 수 있을까?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하는 AI 시대, 불안정한 위기의 시대 속에서, 인구조사는 여전히 사회의 변화를 포착하고 미래의 방향을 제시하는 핵심 지표로 기능하고 있다.
한양대 국제대학원 전영수 교수는 “인구조사는 단순히 인구수를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과 국가의 미래와 삶의 질을 결정하는 실질적 기준이 된다”고 강조한다. 학교·병원·도로 같은 공공시설의 신설이나 운영 예산 배분, 지역 개발계획, 주택·교통·상하수도 등 사회 인프라 투자 우선순위 결정 등은 모두 인구조사 결과를 근거로 삼는다. 전 교수는 “인구조사는 우리가 사는 환경과 정책을 결정하는 가장 힘 있는 근거이자 기본적인 명분이 되는 데이터”라고 덧붙였다.
근대적 개념의 인구조사는 1925년 ‘간이국세조사’로 시작됐다. 당초 일제는 1920년 일본 본토와 식민지를 대상으로 인구조사를 추진했으나, 3·1운동 등 조선의 격렬한 저항으로 시행이 지연돼 1925년 10월에야 한반도에서 조사가 실시됐다. 당시 조사표에는 이름, 성별, 출생 연월, 배우자 관계, 본적 등 5개 기본 항목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핵심 항목들은 오늘날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1960년대 들어 인구주택총조사의 틀이 자리 잡으면서 정부는 본격적으로 인구 통계를 국가 정책에 반영하기 시작했다. 1955~60년 사이 인구가 16% 이상 급증하며 ‘1차 베이비붐 세대’가 등장했고, 정부는 급격한 인구 증가에 대응해 산아 제한 정책을 실시했다. 1960년 6명이던 합계출산율은 1980년 2.82명으로 급감했다. 동시에 인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구추계’가 본격화되면서, 변화하는 인구 구조를 반영한 정책 수립이 가능해졌다.
또한 인구조사 항목의 변화는 시대의 생활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1960년 조사표에는 광이나 외양간, 변소, 굴뚝 유무를 묻는 항목이 있었다면, 2000년대에는 자동차 보유 대수, 컴퓨터·인터넷 이용 여부, 개인 휴대용 통신기 사용 여부 등이 포함되었다. 최근에는 킥보드, 전동이륜차 등 개인형 이동수단 보유 여부까지 조사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질문이 달라지면서, 우리 사회의 생활양식과 문화 변화를 읽어낼 수 있다.
전영수 교수는 “조사에 응답하는 국민이야말로 5천만 인구의 대표라는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며 “이 조사가 결국 나를 위한 정책의 바탕이 된다는 신뢰로 성실히 참여할 때, 정부와 기업, 지자체가 더 나은 길을 찾아갈 수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인구조사는 사람의 결, 우리 삶의 결, 그리고 시대의 결을 읽어내는 귀중한 지문”이라며 강연을 마무리했다.
한편, KBS 1TV 제253회 ‘인구조사 100년으로 본 대한민국 변천사’ 편은 2025년 11월 2일(일) 저녁 7시 10분 방송되며, 방송 이후에는 KBS 홈페이지(www.kbs.co.kr), Wavve, 유튜브 ‘KBS 교양’, ‘KBS 다큐’ 채널을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문의 사항은 KBS 브랜드 마케팅부 허준호에게 연락해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