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와 현재가 교차하는 이곳에서, 여전히 논산을 빛내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난다. 338번째 여정, 충청남도 논산으로 향한다.
선샤인랜드 1950 스튜디오에서는 시간 여행을 떠날 수 있다. 세트장 곳곳에는 전후 1950년대 서민들의 애환이 배어 있다. 그 시절의 풍경을 누구나 무료로 체험할 수 있어 논산의 숨은 명소로 자리 잡은 선샤인랜드 1950스튜디오. 동네지기도 꽃중년 사진 출사팀과 함께 골목 속 숨어 있는 유년 시절의 기억을 하나둘 꺼내 본다.
강경은 충청도와 전라북도를 잇는 교역의 중심지로, 원산항과 함께 조선 2대 포구로 불렸고, 평양·대구와 더불어 조선 3대 시장을 이끌었다. 그러나 교통망 발달과 1990년 금강하굿둑 건설로 뱃길이 완전히 막혔다. 지금은 포구의 흔적만 남아있지만, 금강에서 여전히 고기를 잡는 어부를 만나 찬란했던 시간의 흔적과 마주한다.
강경대흥시장 젓갈 골목을 40년간 지켜온 부부가 있다. 새우젓 통 하나만 해도 250kg. 1년에 600개 가까운 통을 짊어지고 나르다, 다섯 차례 큰 수술을 견뎌낸 남편 백봉만(70) 씨와 그 곁을 묵묵히 지켜온 아내 오원순(71) 씨. 인생의 고비마다 서로의 버팀목이 되어 살아왔다는 부부. 짭조름한 젓갈 맛처럼, 세월 속에 곰삭은 두 사람의 인생 이야기를 들어본다.
한국의 근대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강경. 금강을 따라 근대문화유산을 간직한 충남 서부 내륙권의 논산과 부여, 두 도시는 ‘근대문화유산 배움코스’를 개발 중이다. 이 가운데 ‘강경 근대거리’는 10동의 등록문화재와 잘 보존된 근대 건축물을 바탕으로 풍부한 관광자원을 갖춘 곳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거리에 힘을 보태는 또 다른 주인공은 청년들. 논산 청년희망프로젝트를 통해 강경 근대거리에 둥지를 튼 젊은 사장님 중 하나인 손지나(37) 씨. 강경의 명물인 젓갈을 활용한 ‘젓갈스콘’을 선보여 거리에 젊은 감각을 불어넣고 있다. 또한 강경 토박이 최충식(68) 씨는 신문지, 캔 뚜껑, 아이스크림 막대 같은 버려진 재료로 등을 만들어 거리를 밝힌다. 과거의 기억과 현재가 함께 어우러진 이 거리에서 오래된 미래를 만나본다.
1951년 창설된 논산의 육군훈련소. 지금까지 약 900만 명의 장정을 길러낸 세계 최대 규모의 단일 교육부대이자 대한민국 정병(正兵) 육성의 요람이다. 해마다 12만 명의 청춘이 이곳에서 국군의 일원이 되고, 입소 장정을 배웅하는 가족과 친지까지 더하면 연간 100만 명이 넘는 이들이 드나든다.
대한민국 남자들의 제2의 고향이라 불리는 육군훈련소 근처에는 불향 가득한 제육을 짜장에 얹은 ‘제육짜장’을 선보이는 이동옥(63) 사장님이 있다. 예비 장병들에게는 밥을 무제한으로 내어준다는 사장님. 한 달이면 쌀만 500kg이 쓰이는 정성이다. 대한민국 남자들이 세대를 뛰어넘어 공감하는 위로의 맛, 제육과 짜장. 둘을 합친 이 한 그릇이 육군훈련소 청춘들에게 뜨거운 힘이 되고 있다.
몸을 구부려야만 지나갈 수 있는 해탈문. 그 문을 지나면 국내 최대 규모의 미륵보살상을 품은 천년고찰, 관촉사가 모습을 드러낸다. 얼굴보다 큰 관(冠)을 쓴 독특한 형상으로도 유명한 은진미륵은, 천년 세월 동안 논산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 불상을 보지 못하면 염라대왕에게 꾸지람을 듣는다는 전설이 전해질 정도였다. 우리나라 국보이자 논산의 수호신, 그리고 천년을 함께한 민중의 벗, 은진미륵을 만나 논산 사람들의 삶과 희망을 들여다본다.
연산면에는 100년 전통을 이어온 명물, 연산 피순대가 있다. 돼지 피를 그대로 쓰지 않고 숙성시켜 맑은 피를 대창에 채운 것이 특징이다. 부드럽고 담백한 맛으로 순대 마니아들에게 성지로 불린다.
1919년 연산 오일장이 서면서 고(故) 김점순 여사가 행상으로 순대를 팔기 시작한 것이 그 시작이다. 이후 딸 손복례 씨, 아들 강윤찬(68) 사장을 거쳐 현재는 4대째 강동현(42) 씨가 가업을 이어가고 있다. 전통을 지키려는 할머니와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는 손자 사이에는 적지 않은 갈등이 있었다. 연산 피순대에 담긴 자긍심과 세월의 무게를 맛본다.
논산시 강경읍 금강 변에 자리한 해발 44m의 옥녀봉. 그 아래에는 반세기 넘게 자리를 지켜온 작은 가게가 있다. 올해 91살, 송옥례 할머니가 이곳의 주인이다. 지금까지 52년을 옥녀봉 아래를 삶의 터전으로 삼고 살아왔다. 남편을 먼저 떠나보내고, 110세까지 장수한 시어머니를 모시며 방 한 칸짜리 작은 구멍가게에서 부지런히 오 남매를 키워낸 세월이 고스란히 가게 안에 서려 있다. 해 질 녘이 가장 아름답다는 옥녀봉의 풍경과 닮은 구순 노모의 인생을 만난다.
금강 물길 따라 오늘도 찬란하게 흐르는 동네. 충남 논산은 9월 27일 토요일 저녁 7시 10분 편에서 공개된다.